교수소개

김미남 조교수

예술치료교육및상담

연락처 : 02-2220-2603

■ 자기소개

현재 한양대학교 사범대학 응용미술교육학과의 조교수로 재직 중인 김미남 교수는 한양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을 졸업한 뒤 서울교육대학교 미술교육학과에 입학하여 성적우수 졸업생으로 총장상을 수여하며 학사학위를 받았다. 졸업 후 서울 문백초등학교에서 초등교사로 근무했으며 이후 미국으로 유학.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에서 미술교육 전공으로 석사(M.S.)와 박사(Ph. D.)학위를 받았다. 

박사학위 논문 [Socialization of Children’s Visual Expression: The Socio-cultural Meaning and Function of Korean Children’s Depictions of Negative Emotions in Their Drawings]은 2009년 NAEA(National Art Education Association) Elliot Eisner Dissertation Award에서 Honorable Mention Recipient로 선정되기도 하였다. 

김미남교수는 2008년부터 2011년까지 Kansas주에 있는 Emporia State University 미술교육과에서 조교수로 임용되어 근무하였다. 김미남교수는 ESU에서 Teaching과 Resarch 분야 뿐만 아니라 다양한 Service 활동들에 활발하게 참여하였다.

COMMITTEE 
• Recruitment and Retention Committee
• Mid-Portfolio Review Committee
• Faculty Recognition Committee 
• Thesis Project Committee
• Ceramics Faculty and Department Chair Search Committee
• Council on Teacher Education at Emporia State University
• KSDE/NCATE Steering Committee
• Committee on Advanced Program
• Scholarship Committee

SUPERVISOR OF ART EDUCATION STUDENT TEACHERS
• Meetings with BSE Students: Initial, Midterm, Final 
• Meetings with Student Teachers’ Cooperating Teachers
• School Visits: Elementary, Junior High, and High Schools 
• Assessment: Midterm, Final

DEGREE ANALYST
• Dual Degree Program
• Alternate Route Program (issuing restricted licenses to persons with bachelor’s degrees who qualify and want to become teachers)

CONSULTANT 
• Emporia State University Direct Exchange Programs with Chunche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Korea


■ 학력

1994, 한양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전공 학사
1999, 서울교육대학교 초등미술교육전공 학사 
2004,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미술교육전공 이학석사
2009,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미술교육전공 철학박사


■ 경력

1999-2000 서울 문백초등학교 교사
2004-2005 Pennsylvania St. John the Evangelist Catholic Elementary School 미술교사
2004-2007 Penn State Univ. Saturday Art Class 담당조교2008-2011 Kansas 
Emporia State University 조교수2011-2012 동양자수박물관 학예연구관


■ 연구관심분야

• Child Art (아동미술)
• Visual Culture and Art Education (시각 문화와 미술 교육)
• Art Education Teaching Methods (Elementary/Secondary) (미술 교육 교수 방법-초중등)
• Identity Issues of the Art Teacher (미술 교사의 정체성 문제)
• Art-Based Classroom Research (미술을 바탕으로 한 교실 연구)
• Qualitative Research Design (질적 연구 디자인) 
• Analysis of Visual Data (시각 데이터 분석)
• Cultural Diversity in Art Education (미술 교육의 문화적 다양성)
• Socio-cultural Influences on Children’s Artistic Development (아동의 미술 발달의 사회-문화적 영향들)
•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지역문화 중심의 미술 교육)
•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Art Curriculum (통합 미술 교육과정의 발달)
• Multimedia Art Education (멀티미디어 미술교육)


■ 주요논문

• Chang, E., Lim, M., & Kim, M. (2012/5/1). Three approaches to teaching art methods courses: Child art, visual culture, and issue-based art education, Art Education, 65(3), 17-24.
• 김미남 (2012/1/3). 아동 미술발달 이해를 위한 사회문화적 관점의 학문적 접근들. 미술과 교육, 13(1), 103-123.
• 김미남 (2012/1/31). 사립박물관의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의 현실과 과제: 강릉 동양자수 박물관 사례에 대한 반성적 고찰을 중심으로, 제2회 박물관•미술관 관련 논문 현상공모 수상논문집, 13-34.
• 김미남 (2011/12/1). 창의적인 미술수업을 위한 창의적 미술교사의 현장 연구방법, 조형교육, 41. 1-22.
• 장유진•김미남 (2011/12/1). 입체표현활동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또래 간 교수-학습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조형교육, 41. 179-206.
• 김미남 (2011/7/1) 예비 초등 교사를 위한 미술 프로젝트: 이해를 목적으로 한 미술, 삶을 위한 미술, 삶과 연관된 미술. 미술과 교육, 12(2). 79-106.
• 김미남 (2011/4/1). A Review on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 studies on child art: Focused on analyzing children`s drawings. 조형교육, 39, 71-98.
• 김미남 (2011/1/3). 부정적 감정 경험을 주제로 한 아동화에 사용된 표현전략 해석: 감정표현의 배경적 이해를 중심으로. 미술과 교육, 12(1), 119-148.
• Kim, M. (2008). Korean children’s self-initiated learning and expression through manwha. Visual Arts Research, 34(1), 23–42.
• 김미남 (2007/7/2). 미술활동에 대한 사회의 기대와 가치의 내면화: 한국 초등학교 아동의 그림 그리기 경험의 분석과 탐구. 미술과 교육, 8(2), 77-100.
• 김미남 (2007/8/20). Qualitative inquiry for understanding children’s expressive strategies to depict emotions. 박정애외 공저, 문화 탐구로서의 미술교육 (pp. 182–201). 서울: 미진사.
• Kim, M. (2006). Leren en expressie op eigen initiatief van Koreaanse kinderen met manwha [Learning and expression of Korean children from their self-initiated manwha]. Cultuur + Educatie, 15, 70–85.
• 김미남•김용연 (2006/1/3). 두 번째로 화난 그림은 안되나요?: 아동화에 나타난 감정 표현의 사회화. 미술과 교육, 7(1), 21–44.